교육/체험

교육안내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 안내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는 전통공예 분야의 실기교육으로 전통공예의 저변확산에 기여하는 체계화된 교육의 장입니다.

각 분야 최고 전문가 지도

국가,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 보유자, 전승교육사, 이수자, 대한민국 명장,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이상 수상작가 등이 직접 지도

강좌개요

교육장소 : 한국문화의집
모집인원 : 반 별 10명 내외
강 사 진 : 국가,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 보유자, 전승교육사, 이수자, 대한민국 명장,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본상 이상 수상작가

강좌안내

정규강좌
  • 교육기간 : 매년 3월 ~ 12월(주1회 3시간, 1년 과정)
    • - 일반 기초/연구/전문 : 주1회 3시간 32주
    • - 전통목가구반 : 주1회 6시간 32주
  • 개설종목 : 12종목
    • - 직물공예 : 매듭, 색실누비, 자수보자기, 전통자수, 침선
    • - 목 공 예 : 각자, 소목, 소반
    • - 칠 공 예 : 나전칠기, 옻칠
    • - 금속공예 : 장석
    • - 전통화법 : 단청
  • 3단계 과정의 체계화된 교육 시스템
    • - 기초과정(1년차)→연구과정(2년차)→전문과정(3년차)
단기강좌
  • 교육기간 : 연 2회
  • 개설종목 : 목조각, 칠공예, 자수, 입사, 누비, 침선, 소목 등(기수별 상이)
  • 입문, 심화(정규강좌 최종과정 이상) 과정 운영
  • 종목별 완성작품에 따라 교육 기간 및 운영 시간 상이

※ 교육 기간 및 내용은 추후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교육에 대한 기타 안내사항(취소, 연기 등)은 [주요알림] 메뉴에서 확인 가능 합니다.

한국문화재재단 공예건축학교 담당 02-3011-1702, 1703

※ 2023년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 정규강좌는 1월 편성표 공지 및 2월 1주차 접수 예정입니다.

졸업작품전

2022년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 졸업작품전
  • 출품 및 사진촬영
    • - 장소 / 시간 :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별관 3층 전시실 '올' / 오전 9~11시, 오후 12~14시
    • - 일정
      • · 1.16(월) : 색실누비(김윤선), 자수보자기(김현희), 전통자수(김태자), 소반(이종석)
      • · 1.17(화) : 침선(구혜자)
      • · 1.18(수) : 매듭(노미자)
      • · 1.19(목) : 각자(김각한), 장석(박문열), 단기강좌
      • · 1.20(금) : 소목(박명배), 소목(조화신), 단청(양선희)
      • · 1.25(수) : 옻칠(손대현), 나전칠기(이형만)
      • · 1.26(목) : 매듭(김혜순)
      • * 1.18(수)에는 야간(18시 ~ 21시) 시간대에 출품 가능합니다.
  • 출품료
    • - 금액 : 50,000원  * 현장 결제 불가
    • - 네이버 예약 출품료 납부 바로가기
  • 수료식 및 졸업작품전 개막식
    •  - 일정 : 2.18.(토)
    •  - 장소 :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별관 민속극장 '풍류' 
  • 전시
    • - 전시일정 : 2.18.(토) ~ 3.2.(목)
    • - 장소 :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2층 전시실 '결', 3층 전시실 '올'
  • 작품반출
    • - 반출일정 : 3. 3(금) ~ 3. 4(토) / 10시 ~ 17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