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일정별

- 상태 종료
- 유형 공연
- 참여 유형 사전예약
- 기간 2023-10-16~2023-10-17
- 시간 16:00~17:30
- 장소 창경궁 통명전
- 인원 회당 300명
- 문의 궁능활용사업 콜센터(1522-2296)
2023 가을 궁중문화축전 인문학 콘서트
<창경궁, 우리의 유산>
창경궁은 세종이 즉위하면서 상왕인 태종을 모시기 위하여 지은 궁으로, 1483년 건립되었으며
수강궁을 확장하여 세운 별궁이기도 한 창경궁은 왕실 가족을 모시며 내전을 중심으로 한 생활 공간으로 활용되었습니다.
창경궁은 영조가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죽인 일, 정조가 승하한 일 등 크고 작은 궁중 비극이 일어난 곳이기도 한데, 그 중 일제강점기에 동물원과 식물원, 이왕가박물관이 들어서, 이름도 ‘창경원’(昌慶苑)으로 격하되는 수난을 겪은 궁입니다. 하지만 1963년 1월에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1983년에는 동물원과 식물원을 서울대공원으로 옮기고 이름도 창경궁으로
되찾았습니다.
조선의 5대 궁궐 중 하나로서 효의 의미를 갖고있는 창경궁!
일제에 의해 격하되었던 창경궁의 환원을 기리며 그날의 시간으로 돌어가봅니다.
□ 티켓오픈: 2023년 10월 6일(금) 14시 네이버 예약 <<클릭
*관람권 : 선착순 무료 예매 / 한 ID당 최대 4매 예약가능
현장관람 가능(스텐딩석) **노쇼좌석에 한해 착석 가능
사전예약을 하신 분께 창경궁 명칭환원 40주년 기념 특별 기념품 피규어 키링을 드립니다.
□ 상세내용
- 일정: 2023. 10. 16.(월) ~ 17.(화)
- 시간: 16:00 ~ 17:30(90분간 진행)
- 장소: 창경궁 통명전
- 참여인원: 회당 300명 정원 / 1일 1회 진행
1회차(10.16.) 궁궐 저널, 그날
-강사-
큰별쌤, 최태성(한국사 강사)
EBS 한국사 강사
-공연-
한국문화재재단 예술단
가(歌), 무(舞), 악(樂)이 어우러진 전통공연을 선사하며 한국의 아름다움을 알리는 국내 최고의 전통 무용단
2회차(10.17.) 되찾은 이름의 역사, 창경궁 명칭 환원의 의미
-강사-
썬킴(역사 스토리텔러)
거침없는 세계사 저자, EBS 오디오 어학당 <썬킴의 조선왕조 실록홈즈> 출연 등
-공연-
창작국악그룹 더미소
가야금병창을 중심으로 국악기와 서양 악기의 조화로 전통음악의 현대적인 재해석을 목표로 하는 창작국악팀
-사회자-
서경덕(성신여자대학교 교수)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자문위원 역임 등
□ 티켓 확인 안내
* 공연일 당일 공연 시작 30분~10분 전부터 수령 가능합니다.
- 장소: 창경궁 홍화문 앞 궁중문화축전 안내 부스
사전예약자 확인을 위하여 예매자 본인의 신분증을 필히 지참해주시기 바랍니다.
관람권은 직계가족 및 형제·자매에 한하여 증빙자료 제출 시 양도할 수 있습니다.
*증빙자료: 양도받은 분의 신분증, 예매자와 가족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중 1부)
□ 유의사항
공연 당일 오전 11시 기상청 기준 5mm 이상 우천 예보 시 공연이 취소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매자에게 개별 안내해드릴 예정입니다.
창경궁 내 모든 공간은 금연구역입니다. 문화재 보호 구역으로 음식물, 인화물질, 놀이기구의 반입이 제한됩니다.
티켓 및 행사문의: 한국문화재재단 궁능활용사업 콜센터(1522-2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