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연구

문화유산이야기

자수장 최유현
발행일 : 2021-01-22 조회수 : 3324
자수장 최유현

1936. 2. 15 ~ | 보유자 인정: 1996년 12월 10일

위대한 문화유산
한국문화재재단의 무형문화재이야기
자수장 최유현

국가무형문화재 자수장
Master Artisan of Embroidery skill Holder

나는 당신의 옷을 다지어노앗슴니다.

심의도지코 도포도지고 자리옷도지엇슴니다.

지치아니한 것은 적은주머니에 수놋는것뿐임니다.

그주머니는 나의 손때가 만히무덧슴니다.

짓다가노아두고 짓다가노아두고한 까닭임니다.

다른사람들은 나의 바느질솜씨가 업는줄로 알지마는 그러한비밀은 나밧게는 아는사람이 업슴니다.

나는 마음이 압흐고쓰린때에 주머니에 수를노흐라면 나의마음은 수놋는 금실을 따라서 바늘구녕으로 드러가고 주머니속에서 맑은노래가 나와서 나의마음이됨니다.

그러고 아즉 이세상에는 그주머니에널만한 무슨보물이 업슴니다.

이적은주머니는 지키시려서 지치못하는 것이 아니라 지코십허서 다지치안은것임니다.

- 「수(繡)의 비밀」 [만해 한용운 저]

실과 바늘로 그린 한폭의 아름다움 전통 자수

자수(刺繡)는 미(美)를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가장 오래된 장식기구의 하나인 바늘과 실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조형과 문양 및 색채·질감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공예 예술이다. 자수의 소재는 섬유뿐만 아니라 가죽·새털 등 다양하며, 자수의 기법은 자연계의 문양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풍부한 시각적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우리나라 자수에 관하여 가장 오래된 기록은 『삼국지』위서 동이전으로, 부여 사람들이 흰 옷을 즐겨 입었고, 사신(使臣)이 외국에 나갈 때에는 문양과 색채를 그려 넣거나 수놓은 화려한 옷을 입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자수품으로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은 평양 석암리 일대 낙랑 분묘군에서 출토된 직물 조각들이다.

우리나라의 자수는 주로 의복과 장식품에 사용되었는데, 삼국시대에는 왕족이나 귀족뿐만 아니라 서민들도 형형색색의 수가 놓인 화려한 옷감과 의복을 사용하였다. 고려시대에는 불교문화의 영향으로 사실주의적 표현과 종교작품이 많이 만들어졌으며, 조선시대에는 특히 궁중의 여복(與服)제도에 따른 의장이나 의전용품 등에 자수로 문양과 색채를 나타냈으며, 문무관의 신분과 계급을 구별하기 위해 관복의 앞뒤에 각기 다른 문양의 흉배를 착용하는 제도가 제정됨으로써 자수의 수요는 더욱 증진되었다.

『경국대전』·『속대전』·『목민심서』 등에 의하면 민간의 고급 직물과 함께 자수 의장(衣裝)사용을 금지한 사실이 여러 차례 기술되는 것으로 볼 때 자수가 서민들에게도 널리 성행했음을 알 수 있다. 관(官)에서는 전문적으로 자수품을 제작하였는데 수놓는 전문 장인을 가리켜 화아장(花兒匠)이라고 하였다.

자수품의 용도와 종류

자수의 종류는 계층에 따라 궁중 자수 · 규방 자수 · 민간 자수로 구분하고 용도에 따라 의장 자수 · 실용 자수 · 종교 자수로 나눌 수 있다.

계층에 따른 종류

궁중자수 : 왕족과 그 친족의 수요를 위하여 제작된 것으로 국가의 행사에서 필요한 자수품에서부터 개인용의 소품까지 모두 엄격한 규범에 맞추어 전문 화공(畵工)과 장인들에 의해 제작되었다.

규방자수 : 양반 계층의 여성들이 관장하여 제작한 것으로 일상의 필요뿐 아니라 수양과 덕목을 함양하는 교양과목으로 취미를 곁들여 직접 자수를 놓기도 하였다.

민간자수 : 서민들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기법에 구애없이 수놓아 질박한 조화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다.

용도에 따른 종류

의장자수 : 사람의 신체를 감싸고 손·발 등에 착용하는 의장에 수놓은 것으로 착용자의 신분 구별을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여기에는 왕실에서 종묘사직에 제사를 지낼 때 입는 의례복인 제복(祭服)과 활옷, 원삼과 같은 가례복, 댕기, 후수, 보와 흉배, 관모, 주머니, 노리개, 버선과 신발 등이 해당된다.

실용자수 : 수저를 담아 보관하는 수저집, 붓을 담아 보관하는 필낭, 부채와 부채집, 열쇠꾸러미, 골무와 바늘꽂이와 같은 침선용구, 보자기, 그리고 보료, 베갯모, 방석과 같은 침구류와 장롱이나 함에 놓은 수장식, 장막으로 늘어뜨리는 것 중 수놓아 장식한 것을 총칭하는 수장이나 자수병풍 등이 해당된다.

종교자수 : 종교와 신앙에 바쳐진 자수품은 제작 속성상 오랜 시간을 거쳐 완성되는데 현존하는 종교자수는 대부분 불교의 기물이나 의식에 사용하는 것 등이다. 여러 부처와 보살을 수놓은 수불(繡佛), 부처와 보살의 위덕을 나타내는 상징인 수번(繡幡) 등이다.

한 땀 한 땀 인생에 수를 놓아온 자수장 최유현 선생

자수장 최유현 선생은 1936년 전남 목포에서 3남 4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손재주가 좋아 무엇이든 만드는 것을 좋아했던 선생은 15세 때부터 어머니에게 자수를 배웠다. 당시는 대부분의 가정에서 수를 놓았는데 가장 손쉽게 배울 수 있는 것이 또한 자수였다. 중학교에 들어가서는 수예시간에 손재주가 없어 과제물을 제대로 제출하지 못하는 친구의 것까지 대신 놓아줄 정도로 자수를 좋아했으며 또한 두각을 나타냈다. 수예선생님과 같이 작품을 하고 수놓는 것이 재밌고 칭찬받는 것이 좋아 수를 놓는데 빠져들었다.

이후 권수산 선생을 만나게 되면서 수예에 소질이 있는 학생에서 본격적인 자수인생으로의 전환점을 맞게 된다. 한국전쟁 직후 서울에서 목포로 피난을 왔던 권수산 선생으로부터 본격적으로 자수를 배우기 시작했다. 권수산 선생은 조선미술학원 수예과를 졸업하고 목포로 피난와서 목포 가정여숙을 설립하여 교육에 힘썼던 분으로 최유현 선생은 17살 때 이 학교에 입학하여 권수산 선생에게 자수를 배운 한편, 본교 강사로 재직하는 등 5년간 권수산 선생 문하에서 지냈다.

이후 부산 동아대학교에 가정학과를 만든 뒤 학과장으로 부임을 받은 권수산 선생을 따라 부산으로 와서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러나 권수산 선생의 집안이 좌익운동에 연루되어 집안이 풍비박산 되고 서구나 일본의 문물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선생과의 의견차이로 인해 스승과 제자 간에 거리가 생기기 시작했다. 결국 최유현 선생은 교직생활을 하게 되면서 스승의 곁을 떠나게 되었다.

방학 중이나 주말을 통해 작품활동을 이어가며 국전에서 두 번 입상을 하였으나 전문적으로 작품활동을 하기 위해 10년간의 교직생활을 접고 자수학원을 설립하게 된다. 학원을 설립한 1960년대에는 수를 배우려는 사람이 많아 학원에는 많은 수강생들로 북적였다. 박정희 대통령의 휘호를 수로 놓았던 게 입소문이 나면서 많은 주문이 들어오기도 했고, 방한한 독일대통령에게 증정한 선물 중에도 선생의 작품이 포함되었다. 현재는 취미로 배우려는 사람들보다는 전문인이 되려고 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공방에서 가르치고 있다.

최유현 선생은 30대까지는 베갯모, 사진틀, 방석 같은 생활 소품을 많이 만들었는데 우리나라의 고화, 도자기 같은 문화재를 밑그림으로 수놓기를 시도했다. 그에 대한 반응이 좋아 이후에는 민화에 몰두하여 작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유물을 접하고 수집하게 되면서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불화에까지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리하여 40대부터는 불화 대작을 수놓기 시작하였다. 팔상도, 지장보살, 만다라, 아미타불, 팔신장, 십이지 등을 작품으로 완성했다. 이러한 대작들은 보통 2~3년, 많게는 8년에 걸쳐 완성된다고 한다. 특히 불교자수는 자수기술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정성과 혼이 실려야 하기 때문에 자수기술과 불교신앙의 합일품이라고 할 수 있다. 예천 용문사에 있는 만다라를 밑그림으로 자수 작품을 만들어 1988년 제13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유현 선생은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 자수장 기능보유자로 인정되었으며 현재 부산대 한국전통복식연구소 부설 공방인 중수원(中繡院)을 운영하며 제자들을 육성하고 있다.

작품

1_ 장생초목도 / 88×138cm

영생(永生)의 상징인 신선들이 먹는다는 영생의 열매인 천도복숭아와 불로초를 자련수와 우련수기법으로 얇고 곱게 수를놓아 마치 채색화와 같이 표현했다.

1_ 장생초목도 / 88×138cm(1)
1_ 장생초목도 / 88×138cm(2)
1_ 장생초목도 / 88×138cm(3)
1_ 장생초목도 / 88×138cm(4)
2_ 산신도 / 187×178cm

조선후기부터 토속신앙 형태로 나타난 산신을 사찰에서 수용하여 정각을 조성하고 예배의 대상으로 모셔 온 산신탱화를 밑그림으로 전통기법으로 수놓은 작품이다.

2_ 산신도 / 187×178cm

제작과정

자수에 사용되는 도구는 바늘, 실, 바탕천, 수틀 등이다. 수를 놓을 때는 먼저 바탕천을 수틀에 고정시킨 후 밑그림을 깨끗하게 그린 다음 겹수의 경우 심을 넣을 준비를 하고 수를 놓는다. 수가 끝나면 수틀을 뒤집어 놓고 막대로 가볍게 쳐서 먼지를 턴다. 수놓은 뒷면에 가볍게 풀칠을 해 실밥이 흩어지지 않도록 한 뒤 그늘에서 말린 다음 수틀에서 떼어낸다.

자수의 기법
  • 점수 : 아주 작은 점으로 표현되는 기법으로 밑그림을 전부 메꾸거나 윤곽선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 이음수 : 가는 선을 표시하는데 많이 쓰여지는 수법이며 가는 나뭇가지 윤곽만을 수놓아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 평수 : 실을 간격없이 겹치지 않게 반듯하게 수놓아 나가는 수법이다. 바늘땀의 방향이 가로(수평), 세로(수직), 사선으로 가름수로 수늘 놓는다.
  • 가름수 : 작은 잎을 수놓거나 단풍잎처럼 양쪽으로 갈라져 있는 잎을 수놓는 수법이다.
  • 푼사수 : 평수와 같은 것이나 푼사를 꼬지 않고 하는 것이 다르다.
  • 징금수 : 서양 자수의 코칭 스티치와 같은 수법으로 노끈, 굵은실, 금사, 은사 같은 다른 가는 실로 징그어 주는 기법이다.
  • 자련수 : 평수와 같이 전면을 다 메꾸어 가는 방식으로 바늘땀을 이어 1단계, 2단계로 그 모양을 크기에 따라 몇 단으로든지 나눠서 메꾸어 나가는 수법이다.
  • 자릿수 : 돗자리의 겉모양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넓은 면을 메꿀 때에 주로 사용한다.
  • 속수 : 겉수의 입체감을 나타내기 위해 양감을 표현하는 기법이다.
  • 관수 : 일정하게 간격을 띄우고 수평으로 수놓는 기법으로 대체로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 엇겨놓기수 : 양지관수로 밑수를 수놓은 다음 밑수의 색과 유사한 색으로 실과 실 사이를 어슷하게 건너주는 기법으로 꽃과 새의 꼬리에 응용되는 수이다.
  • 새털수 : 동물이나 새의 부드러운 깃털을 표현하는 기법이다.
  • 무늬목수 : 한국 자수의 독특한 기법으로 결의 방향을 일정하게 규칙적으로 바꾸어 가며 무늬를 만드는 기법이다.
  • 마엽수 : 삼나무 잎모양처럼 엮어나간 연속무늬의 기법이다.
  • 난십자수 : 실을 사선으로 교차해서 수놓을 면을 메꾸어 나가는 수법이다.
  • 입십자수 : 같은 바늘땀의 길이 셋으로 삼각형이 되게 해서 수놓아 간다. 어떤 면에서 보아도 삼각형이 되는 것이 특징이다.
  • 건넴수 : 바탕천의 짜여진 올을 따라 한 올 간격을 두고 우리나라 발 모양으로 옆으로 놓은 후 같은 색실을 가늘게 꼬아서 0.4cm정도의 간격으로 한줄한줄 맞바꾸어 징궈 움직이지 않게 한다.
  • 송엽수 : 소나무 잎을 수놓을때에 쓰는 기법이다.
  • 별무늬수 : 별모양처럼 표현하는 기법으로 수놓는 땀이 짧고 조직적이어서 의상수에 적당하다. 특히 조선시대 의상에 많이 사용되었다.
  • 칠보무늬수 : 주로 금은사를 사용하며 평사수로 밑수한 위에 징금수하여 규칙적이고 기하학적인 문양을 만드는 수법이다.
  • 거북무늬수 : 기하학적 형태가 거북등이나 다이아몬드를 상징하듯이 무늬를 놓을 때 사용하는 수이다.
  • 매듭수 : 천에 매듭을 만들어 수놓아 나가는 수법이다.
  • 단추코수 : 단추코를 하는 것과 같은 수법이다. 시작과 끝을 삼각매듭으로 한다.
  • 양면수 : 주로 손수건, 상보 등에 응용된다.
  • 우련수 : 한 문양의 면 안에서 여러 색상의 실을 바꿔 놓을 때 한가닥 간격을 건너 세가닥을 놓고 두가닥 간격을 건너 두가닥, 세가닥 간격을 건너 한가닥 놓는다.
  • 첩수 : 수놓은 천이나 또는 다른 재질을 따로 고정시키도록 이어 붙인다
1. 풀칠한 말이대에 수놓을 천을 붙인다

1. 풀칠한 말이대에 수놓을 천을 붙인다

2. 수실 염색하기

2. 수실 염색하기

3. 자수기법 중 이음수

3. 자수기법 중 이음수

4. 자수기법 중 가름수

4. 자수기법 중 가름수

5. 자수기법 중 새털수

5. 자수기법 중 새털수

6. 자수기법 중 송엽수

6. 자수기법 중 송엽수

약력

  • 1936년 출생
  • 1988년 대한민국 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 수상
  • 1989년 성지상 문화교육상
  • 1990년 부산시 문화상 수상
  • 1991년 부산시 문화예술진흥위원
  •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 자수장 기능보유자 인정
  • 2006년 부산대학교 객원교수
  • 글 이치헌 / 한국문화재재단

  • 사진 서헌강(문화재전문 사진작가)

갤러리

산신도 세부(1).jpg

산신도 세부(1)

산신도 세부(2).jpg

산신도 세부(2)

십장생액자 80x210cm.jpg

십장생액자 80x210cm

십장생액자 세부(1).jpg

십장생액자 세부(1)

십장생액자 세부(2).jpg

십장생액자 세부(2)

오계신장도병풍 세부(1).jpg

오계신장도병풍 세부(1)

오계신장도병풍각폭 88x191cm.jpg

오계신장도병풍각폭 88x191cm

호작도 99x135cm.jpg

호작도 99x135cm

호작도 세부.jpg

호작도 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