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소식

월간문화재

[2021 봄, 여름호-동물의왕국] 지키다-무덤을 지키는 동물
작성자 : 재단관리자 작성일 : 2021-09-30 조회수 : 3970



(지키다-2_사진01)서울 선릉과 정릉 _ 사진 서헌강


서울 선릉과 정릉 _ 사진 서헌강



무덤을 지키는 동물


무덤을 지키는 동물은 신령스러운 신수(神獸)이다. 이들은 침입자와 악귀를 물리치는 용맹한 동물로 여겨져 예로부터 우리 문화 속에 등장하였다. 상징과 형태 또한 다양하다. 벽사(辟邪), 진묘(鎭墓), 길상(吉祥) 등을 상징하면서 입을 크게 벌리고 뿔을 곤두세운 위협적인 모습에서 점차 친근한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초기에 는 주로 무덤 안에서 지키다가 점차 무덤 밖으로 나와 주인공을지키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더욱 흥미롭다. 무덤 안에서는 악귀와 싸우는 동시에 묘주의 영혼을 하늘로 보내기 위한 승천(昇天)의 역할을 담당하였지 만, 무덤 밖에서는 왕릉의 장엄함과 주인공의 공적을 기리는 역할까지 추가되면서 왕릉의 수호신이 되었다.


글·사진_ 김은선(대전시립박물관 학예연구사)



진묘수(鎭墓獸), 무녕왕을 무덤 안에서 지키다


무덤 안에서 왕을 지키는 대표적인 신수는 무령왕릉에서 출 토된 진묘수(鎭墓獸)이다. 원래 진묘수가 본격적으로 출현한 시 기는 중국 후한(後漢; A.D. 25~220) 이후로 무덤 전실 입구에 서 서 입구 쪽을 바라보고 길게 뻗은 뿔로 침입자를 위협하는 형상 이다. 1) 중국 후한 이후 남조시대의 무덤에서 진묘수가 많이 제작 되었고, 제왕릉에서 도용(陶俑)이나 석용(石俑)의 형태로 많은 수가 출토되었다. 우리나라 무령왕릉에서도 동일한 도상이 출토 되었다. 



(지키다-2_사진02)중국 양(梁)나라 건릉의 천록, 중국 강소성 단양시 소재

중국 양(梁)나라 건릉의 천록, 중국 강소성 단양시 소재

(지키다-2_사진03)무녕왕릉 진묘수 _ 국립공주박물관

무녕왕릉 진묘수_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武寧王, 462~523, 재위 501~523)은 백제 제25대 왕으로 중국 남조(南朝) 양무제(梁武帝, 재위 502~549)에게 사신을 파 견하여 남조 양나라의 다양한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래서였을까. 1971년 충남 송산리 무령왕릉 안에서는 백제시대 현전 유일하게 돌로 제작된 커다란 진묘수가 발굴되었다. 높이32.2cm, 길이 48.6cm의 대형으로 현존하는 남조계 석제 진묘 수 중에서 최대이다. 2) 


고개는 치켜들고 입을 벌리는 위협적인 모습이고, 머리에는 뿔 1 개가 있는 독각수(獨脚獸)이며 몸에는 날개같은 휘날리는 갈기를 장식하였다. 두껍고 짧은 다리로 서 있으나 엉덩이는 뒤로 빼고 다리는 앞으로 뻗어 공격을 준비하는 동물의 자세이다. 눈동 자는 둥글고 큰데 앞으로 돌출되었으며, 머리에는 철제 수지형 (樹枝形) 뿔이 끼워져 있다. 이는 중국 남조계 무덤 안에서 발굴 된 석제 진묘수와 매우 유사한 형태이다. 중국 육조(六朝)시대에 는 무덤 밖의 신도(神道)에서도 다양한 석수(石獸)가 제작되었 는데, 진묘수처럼 머리에 뿔이 달리고 몸에는 날개가 달려 비교 가 가능하다. 이들 무덤밖의 석수는 높이가 2~3m이고, 너비가 3~4m에 달하는 대형으로 ‘기린(麒麟)’이나 ‘천록(天祿)’이라 불 리며 중국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위협적인 능묘 신수(神獸)로 평 가받는다. 


무령왕릉의 진묘수는 중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았지만 중국에는 나타나지 않는 철제 뿔 등은 독창적인 것이었다. 석재질의 분석 결과 각섬석질 돌을 조각해 성형한 것으로 돌의 산출지는 전라 북도 장수 일대일 가능성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3) 이는 외래 문 화의 선택적 수용과 백제 문화의 독창성이 결합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즉 백제의 조각 기법과 장의(葬儀) 문화가 완성시킨 우리 나라 현전 최초의 능묘 조각이다. 


호랑이와 양, 그리고 말, 조선 왕릉의 수호신이 되다


우리나라 전 시대를 통틀어 왕릉의 정확한 위치와 주인공 을 알 수 있고, 절대 연대의 추정이 가능하며, 시대의 흐름을 고 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능은 조선왕릉뿐이다. 조선왕릉은 42개 소라는 방대한 수량을 조성하였고, 519년 동안 『등록(謄錄)』과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 『능지(陵誌)』 등의 기록화 사업 을 통하여 정리한 유일한 왕릉이다. 


조선왕릉에는 제왕의 사적(事績)을 장엄하기 위한 표석, 왕을 모 시는 문석인과 무석인, 외부 침입자와 사악한 기운을 막기 위한 석수(石獸) 등 각종 석물을 수려하게 조성하였다. 석물은 당대 최고로 돌을 잘 다루는 장인인 석공(石工)조직이 조각하였으 며, 조선 후기에는 장인의 이름까지 한 명 한 명 남아 있어 그 치 밀함이 흥미롭고 놀랍다. 조선왕릉의 석물은 보는 이를 압도하 는 강렬함이 있으면서도 조선만의 단정한 예술성이 돋보이는 최 고의 작품이다. 



(지키다-2_사진04)구 희릉 석호, 1515년,단국대박물관 소재


구 희릉 석호, 1515년, 단국대박물관 소재 



동물 형상의 석수(石獸)로는 석호(石虎), 석양(石羊), 석마(石馬) 가 조성되었다. 이들은 죽은 왕을 가장 가까이 지키는 신수(神 獸)로서, 능침 공간 중 왕의 시신이 모셔진 재궁과 가장 가까운 상계(上階)에 배치되었다. 석호와 석양의 배치 방식은 봉분을 등지고 바깥쪽을 향하고 있어 외부 침입자와 사악한 기운을 철저 하게 막는 외호(外護)의 형상이다.


남쪽부터 석양→석호→석양→석호 순으로 번갈아 배치하는데, 봉분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두쌍씩 총 여덟 개를 배치한다. 이는 진묘수의 상징성을 높이고, 재앙을 막는 벽사( .邪)의 역할 까지 강조한 배치이다. 이 배치 방식은 『세종실록』과 『국조오례 의』에 기재되어 있으며, 중국에는 없는우리나라만의 고유한 방 식이다. 진묘수으로서의 상징과 의례를 갖춘 배치, 그리고 미학 (美學)을 가미시킨 종합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중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조선왕릉 석수는 호랑이다.중국 유교 경전인 『주례(周禮)』에 의하면 ‘도깨비 형상의 방상시는 망 자의 간과 뇌를 먹는 것을 좋아하는데, 호랑이와 측백나무를 두 려워하여 이를 세웠다’고 하며, 이로 인해 석호(石虎)는 벽사( .邪)와 용맹함을 상징하는 조선왕릉의 대표 도상이 되었다. 능묘 석호는 중국에서는 전한(前漢) 곽거병(郭去病)의 묘부터 등장하 였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고려 공민왕릉 이후 정립되어 조선왕릉 에 계승되었다. 4) 



(지키다-2_사진05)익릉 석호, 1681년, 구리 동구릉 소재

익릉 석호, 1681년, 구리 동구릉 소재

(지키다-2_사진05)익릉 석호, 1681년, 구리 동구릉 소재

효릉 석양, 1545년, 고양 서삼릉 소재



석호의 자세는 준상으로 엉덩이는 바닥에 붙이고 앞다리 는 세우고 있는 형상인데, 묘주를 등지고 지키는 자세와 어울린 다. 얼굴은 험악한 인상인데, 눈을 크게 부릅뜨고송곳니를 드러 낸 위협적인 모습이다. 반면 신체는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고 있 으며,물결 모양의 꼬리와 날카로운 발톱의 표현 등은 현실적인 호랑이의 형상을 반영하였다. 조각의 밑그림은 산릉에 참여한 화원( .員)이 그리는데, 호랑이 민화나 사수도(四獸圖) 중 백호 (白虎) 도상과 유사함은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석호의 양식은 시대마다 변화가 또렷하여 흥미롭다. 15세기 초 건원릉(健元陵), 제릉(齊陵), 헌릉(獻陵) 등의 석호는 주둥이가 납작하고 어깨를 잔뜩웅크리고 앉은부자연스러운 모습이나 얼 굴은 친근하고 해학적이다. 16세기 희릉(禧陵), 정릉(靖陵), 태릉 (泰陵) 등의 석호는 규모가 거대해져서 위협적인 반면 조각의 돌 출감이 높고 송곳니가과장되게 튀어나와 호랑이의 용맹함을 강 조하였다. 가장 큰 변화는 18세기 중반기이다. 온릉(溫陵)부터 크게 변화되는데, 정성왕후 홍릉(弘陵), 인현왕후 명릉(明陵), 융 릉(隆陵) 등에서는 사실주의 양식으로 제작되었다. 더 이상 해학 적인 호랑이의 면모는 보이지 않고, 실제적인 이목구비와 자연스 러운 신체의 비율을 보여 18세기 문예 부흥 문화가 왕릉 조각에 도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지키다-2_사진07)중국 동한(東漢) 석양, Xuzhou Art Museum of Han Stone Gravings(徐州汉画像石藝術馆) 소재

중국 동한(東漢) 석양, Xuzhou Art Museum of Han Stone Gravings( 徐州..像石藝術.) 소재

(지키다-2_사진08)정현왕후 선릉 석양, 1530년, 서울 선릉과 정릉 소재

정현왕후 선릉 석양, 1530년, 서울 선릉과 정릉 소재



석호와 같이 배치된 석양(石羊)도 흥미롭다. 필자가 조선왕릉 석 물에 대한 강의를 진행할 때 가장 많은 질문을 받는 것이 석양 과 망주석(望柱石)이다. 그만큼 석양은 호랑이에 비해 덜 친숙한 존재이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석양(石羊)이 상징하는 것은 호랑이의 ‘벽사’보다 ‘길상(吉祥)’이 나 ‘효(孝)’에 가깝다. 중국에서는 후한대 이후 양은 하늘에 바치 는 제물로 인식하였고, 묘주의 영혼을 하늘로 보내기 위한 승천 을 상징한다. 중국 강소성(江蘇省) 서주(徐州) 가왕(賈汪) 지구에 서 출토된 후한시대 석양은 등에 묘주를 태우고 하늘로 승천하 는 조각상으로 그 상징성을 그대로 반영하고있다. 또한 상서로 움을 뜻하는 길상(吉祥)의 중국어 고어 발음인 ‘祥[xi .ng]’은 양 과 발음이 유사한 ‘羊[y .ng]’ 으로 길상과 동음이의어이다. 이는 양의 상징성이 ‘길상’이라는 것을 직접적으로 보이는 것이다. 반 면, 한대의 유학자 동중서(董仲舒)의 『춘추번로(春秋繁露)』에 의 하면 ‘양은 뿔이 있으면서도 멋대로 굴지 않고, 다 갖추고 있어 도 쓰지 않으니 어진 이와 같다. 잡아도 소리 지르지 않고, 죽여 도 울지 않으니 의로운 이와 같다. 어미의 젖을 먹을 때는 반드시 무릎을 꿇고 받아먹으니 예를 아는 사람과 같다’라고 하였다. 결 론적으로 양의 상징성은 길상, 승천, 효를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예학(禮學)이 발달한 조선의 정서와 잘 부합되었고, 왕릉은 물론이고 18세기 이후에는 일반 사대부 묘까지도 석양을 조성 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조선 왕릉 석양이 중국과 크게 다른 점은 입상(立像)이라는 점 이다. 네 다리를 쭉 펴고 앞을 보고 서 있는 정면향이고, 나선형 으로 말린 커다란 뿔이 위협적이다. 반면 다리와 다리 사이의 면 석에는초화문(草花文) 등을 자유스럽게 부조하여 푸른 잔디 위 에 조성된 조선 왕릉과 잘 어울린다. 


석양도 석호처럼 시대마다 양식이 변화하였다. 15세기 건원릉, 제릉, 후릉, 헌릉 등의 석양은 주둥이가 납작하고 짧은데 고개를 들어 하늘을 향한 자세가 많아 상승감이 강한 특징이 있다. 단 순하고 선적인 요소가 많지만 친근하고 해학적인 모습이다. 16 세기 이후에는 석양도 큰 양식 변화가발생한다. 선릉(宣陵), 효 릉(孝陵)과 강릉(康陵) 등의 석양은 매우 큰 규모로 조성되어 장 엄하고 위협적이다. 또한 뿔이 높고 커지면서 조각의 돌출감이 높으며, 나선형으로 강하게 휘어 더욱 강렬하다. 18세기 중·후 반 이후에는 석양도 사실주의 양식을 반영한다. 1739년에 제작 된 온릉의 경우 얼굴 표정이 생생하고, 동체 표현은 유연하며 다 리를 늘씬하게 만들어 실제 양을 그대로 묘사한 듯하다. 다리 사 이의 면석에는 난초문을 사실적으로 그려 조각이지만 그림 같은 섬세함이 돋보인다. 이러한 18세기 사실주의 양식은 정성왕후 홍 릉, 인원왕후 명릉, 융릉 등에 이르러 절정에 이른다. 


석마(石馬)는 석호나 석양과 달리 조성 연유와 위치가 다르다. 석마는 처음부터 조선왕릉에 조성된 것이 아니다. 즉 석마는 고 려 공민왕 현 ·정릉(玄正陵), 신덕왕후 정릉(貞陵), 신의왕후 제릉 (齊陵), 건원릉, 후릉(厚陵), 헌릉(獻陵)에는 조성되지 않았다. 그 런데 세종 23년(1441) 세종의 세자빈인 현덕빈(1418~1441)의 묘 조성 때 석마는 고제(古制)에 있으니 이제부터는 능실에 모두 석 마를 설치하는 것이 옳다고 하여 이를 계기로 세종 24년(1442) 에추가 설치된 것이다. 5) 이때 현덕빈의 묘 뿐만 아니라, 건원릉· 제릉·후릉·헌릉에도 추가로 제작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석마의 위치는 다른 석수들과 다르게 되었다. 석호와 석양은 봉분 가까 이의 상계(上階)에 배치되지만 석양은 중계(中階)와 하계(下階) 에 배치되었다. 또한 석호와 석양은 묘주를 등지고 있지만 석마 는 문석인과 무석인의 약간 뒤에서 서로 마주 보고 배치되었다. 이러한 배치법은 후대에 추가로 배치한 이유도 있지만,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리라 추정된다. 



(지키다-2_사진09)건원릉 석마, 1442년, 구리 동구릉 소재


건원릉 석마, 1442년, 구리 동구릉 소재



석마가 상징하는 것은 왕을 수호하고 하늘로의 승천(昇天)을 의 미한다. 즉 왕의 의장군대로서 권력과 수호를 상징하고 있다. 무 덤 앞 석마의 기원은 전한(前漢) 곽거병의 묘부터 시작되는데, 특히 당태종(599~649) 소릉(昭陵) 육준마(六駿馬)의 부조상은 당 태종이 전쟁에서 타고 다니던 애마들로 늠름한 기상을 보여주 고 있다. 이는 왕의 업적을 과시함과 동시에 의장군대를 상징하고 있는 것으로 중국 황제릉과 조선 왕릉에 빠짐없이 조성되었다. 


석마는 다른 석물에 비하여 양식적인 변화가 적다. 15세기 초기 에는 다리와 다리사이가 뚫린 상태로 안정적인 구조를 지니면서 얼굴과 갈기 표현 등은 단순화하였다. 16세기 이후 규모가 커지 면서 목 근육이나 다리 근육 등의 양감이 두드러졌으며, 동체의 양감도 높아졌다. 17세기 이후에는 평면화가 진행되었으나 면석 의 화훼문이 특히 발달하였고, 18세기 이후에는 눈동자와 눈 테 두리의 표현이 석인과 유사하게 명확해지고, 머리 갈기와 등 갈 기 등을 섬세하게 표현하는 등 사실주의 양식을 반영하였다. 


새로운 유형의 동물석, 대한제국 황제릉을 지키다


1897년 고종은 대한제국을 선포하였고, 이후 조선왕릉은 큰 변화를 겪었다. 조선 국왕은 황제로 격상하였는데, 이에 따라 왕 릉도 황제릉의 격식을 갖추고자 하였고, 고종 홍릉(洪陵)과 순 종 유릉(裕陵)은 중국의 황제릉을 결합한 새로운 유형의 황제릉 을 조성하였다. 석수(石獸)의 경우 이전처럼 재궁이 있는 능상 (陵上)에 배치되지 않고, 침전(寢殿) 앞에 도열해 있다. 도열한 순 서는 북쪽부터 문석인→무석인→기린→코끼리→사자→해치→ 낙타→석마의 순서대로 서로 마주보고 도열하였다. 이러한 배치 법과 동물의 유형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중국 제왕릉에 게 영향을 받아 만든 것이다. 



(지키다-2_사진10)고종 홍릉 기린, 1919년, 남양주 홍릉과 유릉 소재


고종 홍릉 기린, 1919년, 남양주 홍릉과 유릉 소재 



기린(麒麟)은 용·거북·봉황과 함께 사령(四靈)이라 하였다. 상서 로움과 뛰어남을 상징하는 상상의 동물인데, 기린이 출현하면 성왕(聖王)이 나올 길조라고 여겼다. 6) 중국 제왕릉의 경우 북송 의 황제릉부터 본격화되었으며 명 효릉(孝陵)과 조릉(祖陵) 등 에 계승되었고, 7) 모두 대형의 위엄 있는 동물 형상으로 만들어 졌다. 대한제국 고종 홍릉의 기린은 뿔이 하나 있는 독각수(獨 角獸)이고 말과 같은 발굽이 있으며, 몸에는 원형 돌기와 상서로 운 갈기가 있다. 눈은 날카롭게 째지고 송곳니가 돌출되어 위협 적인 인상이나, 엉거주춤한 자세는 경직되었고 다리 표현은 얇고 빈약하다. 중국 황제릉의 기린상과 비교하면 사실성이 떨어지고, 평면적으로 조각되었지만 근대기 우리나라의 위태로운 석물 양 식을 반영하고 있다. 


코끼리와 낙타도 조선에서는 조성되지 않았던 동물석이다. 코끼 리는 지상에서 가장 큰 육상 동물로 실존의 동물이지만 신성시 되었다. 종교에서는 신령스러움의 상징물이었고, 조선시대 종묘나 문묘 제사 때에는 코끼리 모양의 상준[象尊]을 제작하여 높은 위 치에 놓았고 각종 의궤나 의례서 등에 도설로 그려져 있다. 따라 서 왕실에서 코끼리는 생각보다 낯선 동물은 아니었고, 『고종태 황제산릉주감의궤(高宗太皇帝山陵主監儀軌)』 의 코끼리 도설도 비교적 정확하다. 중국 제왕릉의 경우 효릉(孝陵), 조릉(祖陵), 13 릉(十三陵) 등에 모두 초대형으로 조성되었다. 고종 홍릉의 코끼 리는 부피감이 없고 세부 묘사는 간략하지만, 넓적한 귀와 부드 러운 상아 형태 등 유순한 코끼리의 성정을 잘 드러내었다. 


낙타는 유목민들에게 신비롭고 성스러운 동물로 여겨졌고, 서역 과 중국 황제와의 주요 외교품 중 하나였다. 중국 제왕릉에는 당 이나 북송에는 조성되지 않다가 명 효릉(孝陵)과 조릉(祖陵), 13릉에 모두 조성되었다. 고종 홍릉의 낙타는 등에 2개의 혹이 있 고 몸에는 갈기 장식을 하였으며,사실성과 세부 표현이 다소 부 족하나 해학적인 얼굴 형태를 보인다.



(지키다-2_사진11)고종 홍릉 코끼리, 1919년, 남양주 홍릉과 유릉 소재

고종 홍릉 코끼리, 1919년, 남양주 홍릉과 유릉 소재

(지키다-2_사진12)고종 홍릉 낙타, 1919년, 남양주 홍릉과 유릉 소재

고종 홍릉 낙타, 1919년, 남양주 홍릉과 유릉 소재



대한제국 때 석수 조각의 전통 조성 방식은 붕괴된 것으로 보인 다. 이로 인해 고종 홍릉과 순종 유릉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양 식을 보이고 있다. 혼란스러운 근대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것 으로 해석되며, 19세기 이후 쇠퇴되는 미술사의 양식을 고스란 히 대변하고 있다. 왕의 무덤을 지키는 동물들은 신령스러운 신수(神獸)로서 외부 의 침입자와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벽사를 상징한다. 그러 나 얼굴은 해학적이면서 왠지 편안하고 친근하다. 중국의 제왕 릉(帝王陵) 석수와는 다른 것이다. 우리나라만의 왕릉 석물로 정 착하면서 독창성과 자연스러움이 추가되었다고나 할까. 이는 조 선 예술의 우수성이 중국 문화의 영향을 뛰어넘었음을 증명하 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 문화재만의 매력이다. 날씨가 선선 해지면 아름다운 숲길이 있는 조선왕릉을 산책하며 예스러운 정취가 묻어있는 동물석들을 다시 만나고 싶다. 



각주 

1) 임영애, 「중국 고분 속 鎭墓獸의 양상과 불교적 변형」, 『미술사논단』 제25호, 한국미술 연구소, 2007. 

2) 小林仁, 「중국 남조 진묘수 고찰 – 백제 무령왕릉 출토 석수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 『진묘수』, 국립공주박물관, 2018. 

3) 이찬희·박준향·유지원, 「석수, 지석의 岩種同定과 해석」, 『무녕왕릉신보고서』Ⅲ, 국립공주박물관, 2014. 

4) 김은선, 「조선 왕릉 石獸 연구」, 『미술사학연구』 283· 284, 2014. 

5) 이정선, 「조선 전기 왕릉제도의 성립과 石人, 石獸 양식 연구」, 『美術史論壇』29, 한국미술연구소, 2009. 

6) 김이순, 『대한제국 황제릉』, 2010. 

7) 김은선, 『조선시대 왕릉 석인상 연구』,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